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전문가들은 올해 수능의 전반적 난이도를 예년 수준으로 전망하면서도, 등급을 가를 최대 변수로는 '사탐런'을 꼽았다.
13일 시행되는 이번 수능은 대체로 평이한 난이도가 예상되지만, 일부 중·고난도 문항이 변별력을 가를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올해 9월 모의평가, 혹은 작년 수능 정도의 난이도를 유지하지 않을까 예상한다”며 “전체적으로 평이한 가운데 영역별로 1~2문제 정도에 변별력을 주는 수준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건영 이투스에듀 입시센터장은 “올해 수능의 핵심 키워드는 '변별력의 세밀화'로 초고난도 문항(킬러 문항)은 줄이고, 중·고난도 문항을 통해 상위권을 세밀하게 변별하려는 출제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며 “극단적인 난이도는 없겠지만, 1~2문항의 실수가 등급을 좌우할 수 있는 정교한 시험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입시 전문가들은 올해의 주요 변수로 '사탐런'을 공통적으로 꼽았다. 이 소장은 “탐구 영역의 변별력은 복불복이지만, 과학탐구 중에서도 특히 물리와 화학 영역을 치르는 학생의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올해 탐구 영역 과목별 응시 인원이 사회탐구로 쏠리는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면서 “과학탐구 과목 응시생은 마무리 학습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센터장도 “까다로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로 수능최저학력기준(수능최저)을 충족하려는 전략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사회탐구 과목 간 쏠림이 커졌고, 과목별 등급 컷과 표준점수 분포가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며 “수능최저 충족과 탐구영역 선택 과목 간 유불리가 입시의 숨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