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교실 문턱도 못 넘는 'K-에듀테크' ? “와, 내가 입힌 코드에 자동차처럼 생긴 로봇이 진짜 움직여요!”
25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단대소프트고) 교실에서 환호성이 터졌다. 책상 위에 놓인 작은 모빌리티 로봇에 코드를 입히자 로봇은 장애물을 스스로 피해 앞으로 나아갔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눈빛을 주고받으며 동시에 환호했다.
이번 행사는 '2025 우즈베키스탄 부하라42학교 내방 메이커교실' 로 단대소프트고 학생 8명과 우즈베키스탄 부하라42학교 학생 8명이 짝을 이뤄 참여했다. 학생들은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을 배우고, 로봇청소기를 직접 구동해보는 등 프로젝트 실습을 진행했다. 단대소프트고가 주관하고 창업진흥원과 강남구가 후원, 운영은 이티에듀가 맡았다.
수업은 소형 전자제어 보드인 아두이노를 활용한 기초 실습으로 시작해 회로와 소프트웨어(SW) 코딩 이해, 자율·원격·라인 주행 원리 학습으로 이어졌다. 처음엔 어색하던 학생들도 한국어와 영어, 제스처와 웃음이 어우러지자 교실은 금세 웃음과 활기로 가득 찼다.
처음 공개된 상자 안에는 작은 아두이노 로봇이 들어 있었다.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상자에서 회로와 바퀴가 달린 로봇을 꺼내 들며 “신기하다, 처음 본다”고 말했다. 자동차 앞부분의 센서를 보고는 “눈 같다”는 반응을 보였고, 한국 학생이 “맞아, 자동차의 눈이야”라고 답했다.
교사는 “아두이노가 복잡한 회로 설계나 납땜 없이 케이블만 꽂아도 전기가 흐르도록 설계된 보드”라고 설명했다.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코드를 연습해 업로드 했고, 자신이 만든 명령이 실제 로봇을 움직인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어 디지털·아날로그 신호의 차이와 센서·모터 쉴드의 구조를 배우며 “하드웨어와 SW가 합쳐져 움직이는 것이 피지컬 컴퓨팅”이라는 설명을 들었다. |
|
|
9월 전국 대학 수시 모집을 앞두고 수험생이 수시 지원 전 참고하는 지표는 전형 별 경쟁률, 전년도 입결, 수능최저학력기준(수능최저), 합격컷 등이다. 이 가운데 경쟁률은 비슷한 수준의 경쟁자가 얼마나 몰릴지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다.
지난해 서울 주요 대학의 수시 경쟁률을 보면 △고려대 20.30대 1 △경희대 26.97대 1 △서강대 27.68대 1 △서울대 9.10대 1 △서울시립대 19.75대 1 △성균관대 31.90대 1 △연세대 16.39대 1 △이화여대 12.68대 1 △중앙대 31.48대 1 △한국외대 22.01대 1 △한양대 31.94대 1 등으로 나타났다.
전형 별로 들어가면 경쟁률 추이에서 차이가 난다. 일반적으로 원서접수 사이트 혹은 대학에서 발표하는 경쟁률은 지원자 수를 모집인원으로 나눠 산출한 결과다. 이 경쟁률과 실질 경쟁률에는 차이가 있다.
표면적인 경쟁률과 실질 경쟁률이 거의 차이가 없는 전형은 '학생부교과전형(교과)'이다. 수시 전형 중에서 경쟁률로만 비교하면 가장 낮지만, 실질 경쟁률과 큰 차이가 없다. 고려대 9.12대 1, 경희대 9.58대 1, 성균관대 10.77대 1, 중앙대 10.96대 1, 한국외대 9.99대 1 등으로 10대 1 수준에 머문다.
|
|
|
'K-에듀테크'가 포스트 한류 시대의 주자로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류의 확산세가 새로운 분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한국어 학습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 교육 시스템과 학습 기술 전반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고삼석 동국대 AI 융합대학 석좌 교수는 “K-콘텐츠의 위상이 높아질수록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자연스레 한국 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라며 “K-에듀테크가 한류의 후발 주자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인프라를 잘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 에듀테크 수출 성과는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 미국 교육시장 조사기관 홀론아이큐는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 규모가 2025년 40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지만,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성과는 여전히 미미하다. 세계적 성장세에 비해 한국 에듀테크는 속도가 더디다는 평가다.
|
|
|
인공지능(AI)은 이제 학교 교실을 넘어 평생교육 현장까지 깊숙이 파고들었다. 재직자와 퇴직자는 물론, 디지털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고령 세대까지 새로운 기술을 배우려는 수요가 갈수록 커진다. 단순한 기술 교육을 넘어, AI 활용 능력이 '생애 전환기'의 경쟁력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흐름은 정책에도 반영되고 있다. 교육부가 2022년 발표한 '제5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2023~2027년)'의 6대 핵심 과제에는 AI를 기반으로 한 개인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이 포함됐다. 사실상 'AI 평생학습 시대'가 열린 셈이다.
정책이 현장에서 구현된 사례 중 하나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매치업 사업'이다. AI 관련 교육과 기술 습득을 위한 강좌가 주를 이룬다. 매치업 사업의 주요 운영 분야를 살펴보면 드론, 지능형자동차, 스마트팜, 바이오헬스, 미래자동차를 비롯해 빅데이터, 로봇, 클라우드, AI 과정으로 이뤄져 있다. 매치업 사업의 목적이 4차 산업분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산업 맞춤 단기 직무인증과정이기 때문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