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대전환의 흐름 속에서 에듀테크는 더 이상 교육 분야만의 영역이 아니다. AI 인재 양성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로 부상했고, 이를 뒷받침하는 교육 혁신 기술은 글로벌 시장의 수출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학교와 대학, 기업, 지역이 함께 AI 학습 생태계를 구축하는 가운데, 한국은 세계가 주목하는' K-에듀테크 모델 수출'이라는 도전 앞에 서 있다. 국내 에듀테크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교육 현장 정착과 글로벌 리딩 서비스로 확장하기 위한 전략은 숙제로 남아있다.
에듀플러스는 'AI 기반 교육·산업 대전환' 기획을 통해 국내외 현황을 짚고, 에듀테크를 활용해 교육과 산업이 선순환할 방안을 살펴본다.
지난해 영국 토터스미디어가 발표한 '더 글로벌 AI 인덱스 2024'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은 AI 강국의 지위를 유지했다. 한국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종합 6위에 올랐다. 인프라, 정부전략, 개발 분야에서 상승했지만, 인재, 운영환경, 연구 분야에서는 하락했다. 이 가운데 한국은 선진국과의 AI 인재 격차가 뚜렷해 대응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 발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AI 기업은 2354개에 달한다. 이들 기업의 종사 인력은 5만1425명으로 집계됐지만,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 규모와 비교하면 8579명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석·박사급 고급 인력은 절대적으로 모자라 기업 10곳 중 8곳이 'AI 인재 부족'을 경영의 최대 난관으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