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개 대학 AI·SW 격돌! 2025 SW중심대학 디지털경진대회 ☔
님이 있는 곳은 비가 많이 오고 있나요? 에듀터도 힘겹게 출근을 했답니다. 종일 비가 온다는데 다행히 에듀터는 사무실에만 있을 예정이에요.(다행 맞죠?) 님, 오늘 좋은 하루 그리고 평안한 하루 되길 바라며 오늘 에듀플러스 더욱 힘차게 출발합니다!
@에듀터 붓 |
|
|
인공지능(AI) 시대를 준비하는 대학생들의 소프트웨어(SW)·AI 등 디지털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주최하고 SW중심대학협의회가 주관하는 ‘2025 SW중심대학 디지털경진대회’가 1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최신 SW·AI 기술을 활용해 실생활 및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해 학생의 SW·AI 기술적 역량과 협업 능력을 강화하는 취지로 기획됐다.
경진대회에는 SW중심대학 사업을 수행하는 58개 대학에서 총 337팀(1119명)이 참가했다. SW와 AI 부문으로 나눠 진행한 예선에서 SW 부문에는 58팀(240명), AI 부문에는 279팀(879명)이 도전장을 던졌다. 두 개 부문에 313팀(1104명)이 지원했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올해 참가팀과 참가자 수도 소폭 늘었다. 올해 SW 부문 주제는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SW 개발’이며, AI 부문 주제는 ‘생성형 AI(LLM)와 인간: 텍스트 판별 챌린지’로 진행됐다. 7월 한 달간 예선을 거쳐 부문별 12개, 총 24개 팀이 본선행 티켓을 얻었다.
SW 부문 본선에는 △가천대 Vigilante △강원대 지능형실시간위협대응체계개발대 △경희대 사방팔방 △국민대 SignOrder △단국대 단국아가들 △부산대 PillTip △서강대 GlucoBeat △아주대 RoadMate △연세대 박준용 △중앙대 손길도우미 △한국과학기술원(KAIST) 도담도담 △한국기술교육대 말벗 등 12개 대학에서 12개팀(52명)이 본선에 진출했다.
|
|
|
‘굿즈’ 열풍이 학원가를 강타했다. 과거 학원 굿즈가 학습자료와 교육 제공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대형학원을 중심으로 브랜드 고유의 정체성을 담아 학생과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시대인재의 경우, 학원 등록과 동시에 웰컴키트 굿즈를 제공한다. 비타민, 텀블러, 메모지 등 학업 능률 향상에 도움되는 제품부터 부엉이 인형, 담요 등 학생이 좋아할만한 제품까지 다양하다. 각각의 굿즈는 학생 심리에 공감하고 응원하는 의미를 담았다. 키링은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마스터키를 형상화해 학생의 노력이 빛을 볼 수 있기를 바라는 뜻으로 제작했다.
대성학원은 정규시즌과 반수 시즌 개강 때 재원생에게 에코백, 텀블러 등으로 구성된 페이스 메이커 키트를 제공한다. 페이스 메이커 키트는 재원생이 페이스를 꾸준히 유지해 수능 레이스를 성공적으로 완주할 수 있기를 응원하기 위해 제작했다.
|
|
|
올해부터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가 시행되면서 ‘서울형 라이즈’를 수행하는 대학들이 라이즈 사업을 위한 조직구성에 나서고 있다. 산학협력단장 출신의 단장 체제를 운영하는가 하면 부총장급의 중량급 인사를 기용하는 등 사업에 무게감을 싣고 있다. 고려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연세대 등은 각각 부총장이 라이즈 사업 총괄책임자로 나선다. 고려대는 윤성택 연구부총장, 연세대는 이원용 연구부총장이 각 대학 라이즈 사업을 이끈다. 서강대는 전성률 교학부총장, 서울시립대는 전인한 교학부총장이 라이즈 사업을 총괄한다. |
|
|
최근 과학고와 영재학교 졸업생의 의약학계열 진학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계에서는 이 같은 변화가 일시적인 현상인지, 추세적인 흐름인지를 두고 해석이 엇갈린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과학고는 학업중단 및 전출자가 느는 추세다. 2022학년도 57명에서 2023학년도 64명, 2024학년도 69명으로 증가했으며, 상당수는 의대 진학을 목표로 진로를 변경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영재학교의 경우 의대 진학 시 불이익 가능성이 알려지면서 진학 단계에서부터 지원을 포기하고 일반고나 자율형사립고로 진학하는 사례가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영재학교 학업중단 및 전출자 수는 2022학년도 18명, 2023학년도 10명, 2024학년도 9명으로 감소 추세다. |
|
|
2026학년도 대학 입시 수시 지원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수시 합격의 당락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수능 최저학력기준(이하 수능 최저) 충족을 위해선 전략적 과목 선택은 필수다. 2025학년도 입시 데이터를 통해 합격률을 높였던 수능 최저 과목 조합을 알아봤다. 수능 최저 충족에 활용되는 과목은 영어가 기본인 것은 공통이지만 그 외 과목은 인문계 자연계열로 달랐다.
진학닷컴의 2025학년도 수능 성적을 입력한 이용자 중 '국어+수학(확률과 통계)+영어+사탐(2과목)' 응시자를 인문계열, '국어+수학(미적분 또는 기하)+영어+과탐(2과목)' 응시자를 자연계열로 보고, 이들의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인문계열에서는 탐구 영역을 포함해 충족한 비율이 평균 96.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영어가 93.5%로 뒤를 이었다. |
|
|
한양여자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재학생과 졸업생의 취업역량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 HR테크 플랫폼 사업을 운영하는 잡코리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잡코리아는 국내 1위 채용 플랫폼 기업으로 한양여대 취업프로그램을 공동 추진 함으로써 청년층의 일자리 지원과 취업역량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취업특강, 기업탐방, ESG를 위한 서포터즈 활동을 연계한다. 청년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취업률 향상을 위한 활동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
|
|